■금융/증권사, 몸집 키워야 산다… 금융감독위, 증권사 초대형화 이끈다 자기자본 확충 통한 기업금융 활성화 목표…인위적인 초대형화 우려도

president
By president 2017.01.13 17:20

■금융/증권사, 몸집 키워야 산다… 금융감독위, 증권사 초대형화 이끈다  자기자본 확충 통한 기업금융 활성화 목표…인위적인 초대형화 우려도

금융감독위, 증권사 초대형화 이끈다

자기자본 확충 통한 기업금융 활성화 목표…인위적인 초대형화 우려도

 

작년 한 해 동안 증권가의 가장 큰 관심은 증권사들의 ‘초대형化’다. 증권사들의 초대형화 추세는 금융당국의 잇따른 ‘초대형 투자은행(IB) 육성’ 정책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증권사는 자기자본의 200%까지 어음발행 허용 등의 혜택을 통해 증권사의 초대형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또 자기자본 8조원의 ‘메가증권사’에 대한 추가 혜택도 제시하고 있다.                                장영환 기자

 

초대형 증권사 육성 정책, 3조․4조․8조 3단계 차등지원

금융당국은 2013년 증권사의 기업금융을 활성화를 골자로 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를 도입한 이래, 증권사가 자기자본을 크게 확대하도록 유도하는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금융위는 작년 6월, 증권사가 자기자본 3조원을 넘기면 기업신용공여 한도를 확대하는 등 공격적으로 종합금융 영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발표한데 이어, 작년 8월에는 “2017년 4월부터 4조원 이상의 초대형 증권사는 자기자본 200% 한도로 만기 1년 이내의 어음을 발행할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어음은 발행 절차가 간편하고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을 수 있어 자금운용의 자율성이 커진다. 증권사가 손쉽게 대규모 자금을 끌어와 기업대출 등으로 투자를 다양화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금융위는 작년 12월29일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의 ‘메가 투자은행(IB)’에 종합투자계좌(IMA) 운용을 허용”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IMA는 증권사가 고객이 맡긴 돈을 운용해 원금에 수익을 더해 상환할 의무가 있는 상품이다.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증권사는 발행액에 제한 없이 IMA 자금을 유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 메가 증권사는 은행에만 겸업이 허용된 부동산담보 신탁 업무에 진출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 4조원 이상, 8조원 이상의 3단계 기준으로 증권사 초대형화 지원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금융당국이 이처럼 증권사 초대형화를 유도하고 있는 이유는 증권사들이 투자은행으로서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기업금융을 활성화 하자는 취지다. 금융위는 “2013년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전반적인 영업이 과거 방식을 답습하고 있다”며 “기업금융을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충분한 자기자본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초대형화 육성 취지를 설명했다. 2015년까지만 해도 국내에서 자기자본이 4조원을 넘는 증권사는 NH투자증권(4조5,000억원)이 유일했다. 그러나 작년에는 미래에셋대우가 합병을 통해 자기자본을 6조6,000억원으로 확대했다 미래에셋대우는 8조원 이상의 ‘메가 증권사’ 추진도 검토 중이다. 이외에도 한국투자증권(4조200억원), 삼성증권(4조1500억)이 유상증자를 실시해 4조원 대를 넘어섰으며, 현대증권과 KB증권이 통합해 올해 1월2일 출범한 통합KB증권이 추가 유상증자를 실시, 자기자본 4조원대(4조1600억)를 넘어섰다. 또 ‘신한금융투자’가 5,000억의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자본 3조원대로 진입했다. 이밖에도 자기자본 1-3조원 대의 중대형 증권사인 메리츠종금증권, 하나금융투자, 대신증권, 등도 유상증자 및 M&A 등을 통해 초대형화를 추진을 고민하고 있다.

 

ROE 하락, 인위적인 자기자본 확충의 한계

증권사 초대형화 정책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초대형 증권사 육성방안’을 발표한지 6개월도 안된 기간에 국내 주요 증권사 5곳이 외형 확대를 결정했다. 특히 이들 증권사들은 지난 2013년 금융당국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프라임브로커)’ 제도를 실시했을 때 자기자본 규모를 적극적으로 늘린 증권사들이다. 당시 우리투자증권(現 NH투자증권), 대우증권(現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현대증권(現 KB증권), 삼성증권이 가장 먼저 프라임브로커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번에도 합병 증권사가 대체했다는 점 외에는 탑5 라인업이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금융 당국이 대형사의 대형화를 이끈 셈이다. 이는 금융당국의 지원 없이는 증권사들도 외형확장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합병사를 제외하곤 지난 2013년과 올해 모두 대형 증권사들은 정부가 제시한 기준에 충족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만 자기자본 규모를 늘렸다. 자기자본 6조6천억원의 미래에셋대우도 “8조원 증권사에 주어지는 혜택을 가늠해 본 후 외형을 끌어 올리겠다”며 추가적인 자본규모 확대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우려는 수익성과 이로 인한 자기자본이익률(ROE) 저하의 문제다. 유상증자를 결정한 삼성증권이 대표적이다. 초대형 IB에 한발 짝 다가섰음에도 많은 애널리스트들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떨어질 것을 먼저 우려하고 있다. 국내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자기자본 규모만 늘린다고 해서 증권사가 대형화를 이끌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덩치에 맞는 수익성이 따라줘야 하는데 (올라간 자기자본 규모를) 감당할 수 있을지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 정부의 유인책이 있을 때 동시다발적으로 증권사들이 규모를 늘리는 이유는 신규사업 때문이다. 국내외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증권사 전반의 수익성은 악화됐고, 증권업 전반의 ROE 역시 올해 들어 크게 낮아졌다. 증권업 자체가 수익 구조면에서 차별화를 꾀하기 어려워, 가능하면 많은 사업 영역을 확보하는 게 유리하다.

 

중소형 증권사, ‘중기 전문 IB’로 생존 모색

금융당국의 증권사 초대형화 정책의 문제로 또 하나 지적되는 점은 중소형 증권사들이 증권시장에서 살아남기가 매우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국내 10위인 키움증권(1조 800억)을 비롯해 신영증권, 유안타증권, HMC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교보증권, 유진투자증권, 동부투자증권, IBK투자증권 등이 자기자본 5,000억-1조원 대의 중소형 증권사들이다. 이들은 대형 증권사에 비해 각종 정책이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어, 결국 이들 중 일부는 일반투자자 면허를 반납하거나 주요 수익원 면허를 포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금융위는 중소형 증권사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업무’를 특화해 ‘중기 전문 IB’ 정책을 도입하고, 키움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IBK투자증권 등을 ‘중기 전문 IB’로 선정했다. 선정된 회사들은 2년간 중소기업 관련 회사채 발행 및 M&A 전용펀드 주관사 선정에서 우대해 주는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또 중간평가를 실시해 실적이 부진한 회사는 탈락시킬 계획이어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1

president
By president 2017.01.13 17:20
댓글작성

댓글없음

댓글없음!

이 기사에 관하여 첫번째로 관심을 표현해 주세요.

댓글작성
댓글보기

댓글작성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표시는 필수입력입니다.*

최근 글